저희 포럼은 실천적이고 지속 가능한 서민금융 정책대안을 제시하겠습니다
  • 자료실

회원가입 안내/

HOME > 자료실
자료실
제목 탐사 저널리즘
작성자 admin 작성일 19-05-17 10:23 조회수 381
첨부파일

탐사 저널리즘

목차



탐사 저널리즘은 공격적이다. 뉴스 이슈로부터 거리를 두고자하는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 공격의 대상을 정해 치열하게 파고든다. 지배체제의 구조적 문제들을 공격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수준까지 깊이 있는 논의를 담아내는 것을 추구한다. 대신 철저하게 객관적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과학적 접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저널리스트가 뉴스 생산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므로 과학적 객관성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오히려 주관적 뉴스 생산으로 흐를 수도 있다.


1. 탐사 저널리즘의 공격성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여 탐사 저널리즘의 객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 필립 메이어(Philip Meyer, 1930~ )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여 탐사 저널리즘의 객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 필립 메이어(Philip Meyer, 1930~ )ⓒ 커뮤니케이션북스


탐사 저널리즘은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혼란을 타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객관주의 저널리즘은 객관성을 모든 것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분리주의로 받아들였다. 정치나 정책의 의미를 파고들기보다는 이를 구성하는 뉴스 행위자들의 전문성을 강조하면서 전략, 전술의 차원에서 접근했다. 결과는 저널리즘의 신뢰 추락으로 나타났다(Hanno Hardt, 1998). 물론 저널리스트가 자신의 개인적 관점을 독자들에게 투사하는 것을 막는다는 점에서 긍정적 기능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필립 메이어(Philip Meyer, 1991)가 지적한 것처럼 이런 식의 객관성은 사실이 있는 그대로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단순한 세계에서나 가능하다. 세상이 복잡해지면서 저널리즘은 더 이상 객관성이라는 방패 뒤에 머무를 수 없게 되었다. 탐사 저널리즘은 이런 지점에서 그 가치가 드러난다.

탐사 저널리즘은 뉴스 내용과 뉴스 생산 방법의 두 가지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탐사 저널리즘의 내용적 특성은 "누군가 숨기려고 하는 그 무엇을 끊임없이 파헤치는 것"(De Burgh, 2000: 15)이라는 정의에서 잘 드러난다. 여기서 '그 무엇'은 부정과 부패고 '누군가'는 개인이 아니라 제도나 권위, 구조 등이다(Theodore L. Glasser & James S. Ettema, 1989). 지배 권력이나 이들이 지배하는 사회 구조, 특히 정부와 같은 권력 구조를 견제하고자 한다. 좀 더 세분하면 도덕적 규범을 위반한 부끄러운 관행을 확인하는 것(identifying), 권력 남용을 밝혀내는 것(revealing), 중요한 주장의 근거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questioning), 부패를 드러내는 것(showing), 공식적인 이유들에 도전하는 것(challenging), 법의 함정을 증명하는 것(demonstrating), 명분과 실제의 괴리를 폭로하는 것(exposing), 감추어진 것을 끄집어내는 것(disclosing) 등이라고 하겠다(Hugo De Burgh, 2005).

이는 탐사 저널리즘이 정보 전달이나 수동적 감시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의제를 바꾸려는 의도를 가진 것을 보여 준다. 지배체제의 생각과 관계없이 사회적 중요성의 우선 순위를 직접 설정하고자 한다(Nicholas Jones, 1999). 변혁을 추구하므로 지배체제에 대해 공격적이고 때로 적대적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에서 영국에서는 탐사 저널리즘을 정치적으로 야당으로 이해했다. 1982년 대처 정부 시절, 영국의 야당은 여당에 전혀 제대로 대항하지 못했다. 이때 채널4의 탐사 저널리즘 프로그램 〈디스패치(Dispatches)〉는 야당의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았다.

따라서 탐사 저널리즘은 단순한 고발이 아니라 사회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해야 한다. 탐사 저널리즘을 악역, 피해자, 공익 등의 구도로 구성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David L. Protess et al., 1991). 변화 없이 구조적으로 내재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탐사 저널리즘은 적어도 이런 문제에 대해 변화의 촉매기능을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한다. 미국의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Christian Science Monitor)》는 탐사 저널리즘을 해결 저널리즘(solution journalism)이라고 주장한다. 때문에 저널리스트들이 사안에 대해, 특히 칼럼을 통해 자신의 분석과 해석에 따른 주관적 판단과 해결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해 왔다. 《마이애미 헤럴드 트리뷴(Miami Herald Tribune)》은 반드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처방(prescription)을 내리는 것으로 기사의 끝을 맺는다(Louis Ureneck, 1994).


2. 탐사 저널리즘의 생산 방식


대부분의 뉴스 스토리는 현상을 기술하는 서술 중심이다. 대개 주어진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기존의 권위체제가 정의하는 대로 받아들인다. 또 뉴스 규격에 맞추기 때문에 현실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탐사 저널리즘은 가능한 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재구성하고 재해석한다. 저널리스트가 사건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다. 저널리스트가 중심이 되어 생산 과정을 진행한다.

탐사 저널리즘은 일상적인 뉴스 생산, 특히 발생 기사 중심의 생산 시스템에서 벗어나 있다. 뉴스 조직의 통제로부터 자유롭게 독자적인 뉴스 생산에 임할 수 있다. 때문에 저널리스트의 독자성과 재량권이 중요하다. 우르네크(Ureneck, 1994)가 탐사 저널리즘을 전문가 저널리즘(expert journalism)이라고 부른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전문가로서 폭넓은 재량권을 갖고 분석과 해석 및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하고 그에 기반해 독립적인 결론에까지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탐사 저널리즘은 또 증거에 초점을 맞추며 정보는 물론 취재원과 정보의 형식 등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소들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요구한다. 동시에 정보의 의미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De Burgh, 2000). 범죄 수사에 적용하는 법의학적 접근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임해야 한다. 달리 보면 사회과학적인 연구 방법론과 같다. 많은 연구자들은 탐사 저널리즘의 생산에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과 그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Philip Meyer, 1991; Karen Jurgensen & Philip Meyer, 1992; Stocking & LaMarca, 1990). 탐사 저널리즘을 정밀 저널리즘(precision journalism)이라고 부르기도 한 메이어(Meyer, 1991)는 과학적 방법론에 근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널리스트는 자신의 가설을 비롯해 취재 방법론과 수집한 증거들을 공개해 외부의 철저한 검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체계적인 가설을 갖기보다는 추측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은 통상적 뉴스 생산과 다른 것이다.


3. 탐사 저널리즘의 객관성과 주관성


유르겐슨과 메이어(Jurgensen & Meyer, 1992)는 탐사 저널리즘이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함으로써 객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CAR(Computer Aided Reporting)는 원자료를 스프레드시트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매핑 프로그램을 통해 현상의 장기적 구조 패턴을 찾아내기도 한다. 이에 따라 저널리스트는 자신의 가설에 따라 데이터를 얼마든지 독자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중립적인 데이터 분석으로 다른 사람의 해석을 거친 통계나 기존의 정설들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 취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객관성의 시비를 잠식시킬 수 있다고 본다(Cecilia Friend, 1994; Neil H. Reisner, 1995).

한편 탐사 저널리즘은 몰입 저널리즘(immersion journalism)이라고 불릴 정도로 저널리스트가 뉴스 내용에 깊숙이 개입한다. 이는 객관성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독자적인 가설과 데이터 수집, 분석, 결론 등은 독자적인 데이터 분석에서 얻은 자기만의 증거들에 의지한다. 이 때문에 저스틴 메이요와 글렌 레셔너(Justin Mayo & Glenn Leshner, 2000)는 탐사 저널리즘의 가장 큰 특징이 저널리스트의 주관적 생산이라고 지적했다.

탐사 저널리즘이 먼저 가설을 세운 뒤 이에 부합하는 정보를 자의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사실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는 일종의 지적 범죄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저널리스트의 주관적 분석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저널리스트라기보다 논쟁에 개입하는 논객이 되어버릴 위험도 있다. 저널리스트가 독립적인 관찰자의 입장을 넘어 사안에 대해 편을 드는 행동가로 변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de Burgh, Hugo(2000년) Higher kind of loyalty? In H. de Burgh (Ed.), Investigative Journalism: Context and Practice (3~25). London: Routledge.
  • Friend, Cecilia(1994년) Daily Newspaper Use of Computers to Analyse Data. Newspaper Research Journal, Winter, 63~72.
  • Glasser, Theodore. L., & Ettema, James S.(1989년) Investigative Journalism and the Moral Order.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March, 1~20.
  • Hardt, Hanno(1998년) Interactions: Critical Studies in Communication, Media and Journalism. Oxfor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 Jones, Nicholas(1999년) Sultans of Spin. London: Victor Gollancz.
  • Jurgensen, Karen & Meyer, Philip(1992년) After Journalism. Journalism Quarterly, Summer, 266~272.
  • Mayo, Justin & Leshner, Glenn(2000년) Assessing the credibility of computer-assisted reporting. Newspaper Research Journal, 21(4), 68~82.
  • Meyer, Philip(1991년) The New Precision Journalism. Bloominton: Indiana University Press.
  • Protess, David. L., Cook, Fay Lomax, & Doppelt, Jack C.(1991년) The journalism of outrage: Investigate reporting and agenda building in America. New York: Guilford Press.
  • Reisner, Neil H.(1995년) On the Beat. American Journalism Review, March, 47.
  • Stocking, S. H., & LaMarca, N.(1990년) How journalists describe their stories: Hypotheses and assumptions in newsmaking. Journalism Quarterly, 67, 295~302
  • Ureneck, Louis(1994년) Expert Journalism. Nieman Report, Winter, 6~12.

주제어

  • 지배체제, 권력 남용, 의문, 감시견, 공격성, 사회변화, 해결, 전문가 저널리즘, 사회과학, 법의학, CAR

    [네이버 지식백과] 탐사 저널리즘 (현대 저널리즘, 2013. 2. 25., 김사승)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uick quick quick quick poll

사용중인 설문조사가 없습니다.